본문 바로가기
일상나눔/무역 실무

[무역 실무] 원산지 증명에 관하여 -1 (HS code)

by 맘비화 2021. 7. 6.

안녕하세요 ! 오늘 무역실무 관련하여 같이 공부할 내용은 지난주에 공부 하였던 H.S code와 관련된 원산지증명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합시다!

https://hfkimnara.tistory.com/31

 

[일상 나눔] H.S CODE 란 무엇인가?

 무역 쪽 일을 하다 보면 항상 접하게 되는 것 중에 하나! 바로 H.S CODE입니다! 몇 달 전에 블로그에 무역실무 관련 간단하게 소개했을 때 마지막 내용 중에 언급했던 내용인데요!! H.S CODE는 반드

hfkimnara.tistory.com

 

원산지 증명이란?
@네이버 지식백과

    C/O로 약칭하며, 당해 물품이 확실하게 그 국가에서 생산되거나 제조된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공문서로서 통상은 수출국에 주재하는 수입국 영사가 발급한다. 수입국 영사가 없는 경우 기타 특별한 경우에는 수출국의 상업회의소에서 발급하는 것을 사용한다. 원산지증명서는 원래는 수입자가 수입화물의 관세부과에 있어서 국정세율(National or General Tariff)보다 낮은 협정세율(Conventional Tariff)의 적용을 받기 위하여 수입자 개인으로서 필요로 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본래의 성질이 변화하여 수입국이 덤핑방지 또는 외환관리를 위해서 필요로 하고 있고, 법규에서 원산지증명서의 제출을 강요하고 있다.

 

 

@검색해 보면 나오는 무수히 많은 인증서들

    원산지 증명서는 FTACO 협정을 맺은 국가들간에 진행을 하고 있는데요. 원산지 증명은 보통 수출하는 회사에서 직접신청하거나 또는 포워더를 통해 진행 할 때가 있습니다.

 

@우리회사가 받고있는 실제 FTACO인증서

원산지 증명에 들어가는 내용중에는

1. 회사명 (수입, 수출 전부다 기입)

: 만약 원산지 증명을 끊어주는 회사가 있다면 원산지 증명에 표기도 되어있습니다.

2. 선박 일정 및 출발,도착지

: 선박 일정 과 출발,도착지 등등 적혀 있습니다. 단 만약에 도착지가 변경될 시 새로 발급해야되므로 확실하게 말해줘야됩니다.

3. 제품모델명,HScode, 수량,인보이스 날짜 및 번호

: CI상에 제품모델명, 수량, 인보이스 날짜 및 번호는 원산지 증명과 반드시 동일해야 합니다. 만약에 제품 모델명이 예를 들어 'EXA-125406 ball pen'라고 가정해봅시다. CI는 EXA-125406 이라고만 되어있고 ballpen은 기입이 안 되어 있거나 혹은 반대에 상황이라고하면, 세관에서는 원산지증명과 인보이스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하여 받지 않습니다. 그리고 인보이스 날짜와 번호는 반드시 공장 출고 날짜가 아닌 ETD(배 출항날짜) 기준으로 받으셔야 됩니다. 공장출고 날짜 기준으로 CI를 받고 인증서는 ETD(배 출항날짜)기준으로 받아도 인정 안해줍니다.

4. 세관 및 회사 도장 등등.

: 만약 하기에 도장 및 사인이 없으면 당연히 인증 안 해주는건 알고 있을 거라고 믿고 패스하겠습니다

 

원산지 증명을 발급할 때 비용이 들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지 않게 확인하고 또 확인하여 발급을 받아야됩니다. 저희 회사는 처음 원산지 증명을 발급 받았을 때 몇번 새로 발급을 받은 적이 있어, 매번 출하 할때마다 공장측과 발급받기전에 확인하고 신청 합니다.

원산지 증명서는 CI,PL와 함께 제출 하시면 됩니다:)

이상 FTACO(원산지 증명)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