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쪽 일을 하다 보면 항상 접하게 되는 것 중에 하나! 바로 H.S CODE입니다! 몇 달 전에 블로그에 무역실무 관련 간단하게 소개했을 때 마지막 내용 중에 언급했던 내용인데요!! H.S CODE는 반드시 알아야 되는 무역실무 하나로! H.S CODE만 잘 알게 된다면 관세비용을 무려 0%(모든 물건들이 0%라는 말은 아님)로 할 수 있다는 점!

H.S CODE란 무엇인가?
naver 지식백과
HS는 1988년 국제 협약으로 채택된 국제 통일 상품 분류체계(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의 약칭이다. 국제 통일 상품 분류체계는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숫자 코드로 분류하여 상품 분류 체계를 통일함으로써 국제무역을 원활하게 하고 관세율 적용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관세나 무역통계, 운송, 보험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다.
국제 협약에 따라 HS 코드는 10자리까지 사용할 수 있다. 6자리까지는 국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로서 앞의 1~2자리는 상품의 군별 구분, 3~4자리는 소분류로 동일류 내 품목의 종류별·가공도 별 분류, 5~6자리는 세분류 통일호 내 품목의 용도·기능 등에 따른 분류이다. 7자리부터는 각 나라에서 세분화하여 부여하는 숫자인데, 한국은 10자리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에 사용되는 마우스의 한국 HS 코드는 8471601030이다. '84'는 기계, '71'은 자동자료처리기, '60'은 입력 및 출력장치에 대한 분류 코드로서 여기까지는 국제 공통이고, '10'은 입력장치, '30'은 마우스에 대한 분류로서 한국에서 세분하여 부여한 것이다.
한편, HS 코드 번호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출국에서는 관세율이 낮은 코드를 선호하고, 수입국에서는 관세율이 높은 코드를 선호함으로써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는 휴대전화로 분류하는 DMB 폰을 독일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로 분류하는데, 휴대전화는 관세를 물지 않지만, 텔레비전 수신기는 14%의 관세가 부과된다.
첫번째로 H.S CODE를 알려면 우선 관세를 알아야 합니다!
관세란 무엇인가?
관세라는 것은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세관에서 부과하는 일종의 세금입니다. 수입된 제품들은 다 세금을 붙여 한국에 들어오게 되는데요. 제품들마다 붙는 세금 % 가 다릅니다.
(나중에 사무 실무에서 관세, 부가가치세 등 관련에서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그러므로, 즉! 관세를 계산할 때 H.S CODE는 꼭 있어야 되는 것이지요!
무역이라는 게 국가에서 국가로 이동이 되는 것이라, 수출국-> 수입국으로 제품이 오면 '수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자신이 수입하는 제품이 어떠한 H.S code 인지 알아야 됩니다. 물론 H.S code를 모른다고 하면 관세사 쪽에 정보를 보내어 알려주거나 수출한 판매업자 쪽에서 알고 있긴 합니다.
만약 직접 알고 싶다면 하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unipass.customs.go.kr
또한 성기에 언급한 내용 중 관세 0%로 들어올 수 있다고 했었지요? 만약 국가와 국가 간에 FTA 협정을 맺어있다면 제품에 관세를 붙이지 않고 들어올 수가 있습니다! 다만 모든 제품들이 다 무료로 들어올 수 있다는 건 아닙니다!
품목에 따라서 관세 부분을 조금 인하를 시켜준다거나 면제를 받기 위해서는 "원산지 증명"이 필요합니다.
우리 회사에서는 원산지 증명을 보통 공장 측에서 해주거나 포워더에서 처리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원산지 증명 관련해서는 나중에 포스트 하겠습니다!
관세라는 게 처음에 볼 때는 어렵다고 느껴지지만 적응하다 보면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아요! 만약 잘 알고 있다면 수출입 혜택도 많이 볼 수가 있으니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일상나눔 > 무역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 실무] 해외공장 소싱 하는 방법-1 (0) | 2021.07.13 |
---|---|
[무역 실무] 원산지 증명에 관하여 -1 (HS code) (0) | 2021.07.06 |
[일상나눔] 수출입 인도조건 -FOB 외 여러가지 (0) | 2021.06.25 |
[일상나눔] packing list (패킹리스트)-3 (0) | 2021.05.04 |
[무역 실무] 관련 자료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