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나눔10 [무역 실무] 원산지 증명에 관하여 -1 (HS code) 안녕하세요 ! 오늘 무역실무 관련하여 같이 공부할 내용은 지난주에 공부 하였던 H.S code와 관련된 원산지증명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합시다! https://hfkimnara.tistory.com/31 [일상 나눔] H.S CODE 란 무엇인가? 무역 쪽 일을 하다 보면 항상 접하게 되는 것 중에 하나! 바로 H.S CODE입니다! 몇 달 전에 블로그에 무역실무 관련 간단하게 소개했을 때 마지막 내용 중에 언급했던 내용인데요!! H.S CODE는 반드 hfkimnara.tistory.com 원산지 증명이란? @네이버 지식백과 C/O로 약칭하며, 당해 물품이 확실하게 그 국가에서 생산되거나 제조된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공문서로서 통상은 수출국에 주재하는 수입국 영사가 발급한다. 수입국 영사가 없는 경.. 2021. 7. 6. [일상 나눔] H.S CODE 란 무엇인가? 무역 쪽 일을 하다 보면 항상 접하게 되는 것 중에 하나! 바로 H.S CODE입니다! 몇 달 전에 블로그에 무역실무 관련 간단하게 소개했을 때 마지막 내용 중에 언급했던 내용인데요!! H.S CODE는 반드시 알아야 되는 무역실무 하나로! H.S CODE만 잘 알게 된다면 관세비용을 무려 0%(모든 물건들이 0%라는 말은 아님)로 할 수 있다는 점! H.S CODE란 무엇인가? naver 지식백과 HS는 1988년 국제 협약으로 채택된 국제 통일 상품 분류체계(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의 약칭이다. 국제 통일 상품 분류체계는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숫자 코드로 분류하여 상품 분류 체계를 통일함으로써 국제무역을 원활하게 하고 관세율 적용에 .. 2021. 7. 2. [사무 실무] 거래명세서(거래명세표) 란? 직장을 다니다 보면 항상 보이는 것 중 하나가 거래명세서인 것 같습니다. 거래명세서 혹은 거래명세표로 불리고 있는데 항상 고객사들과 제품을 납품할 때 보통 거래명세서를 통해 물건을 받았다는 증빙자료로 쓰이는데....... 고정 양식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며, 회사마다 거래명세서 또한 다 다르기 때문에 왜 다르지 라고 생각하면 저도 뭐라고 말씀드리기가 어려워요 (진짜 지인분이 물어본 내용) 우선 Naver 지식백과에 나온 거래명세서란? 거래명세서 [ 去來明細書 , specification on transaction ] naver지식백과 거래명세서는 기업과 거래처 간 거래를 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명세 내역을 기록하는 문서로 거래 사실을 분명히 하고자 작성하는 문서이다. 거래명세서는 거래 발생의 세부적인 내.. 2021. 7. 1. [일상나눔] 수출입 인도조건 -FOB 외 여러가지 해외 수출을 하다 보면 수출입 계약조건에 따라 매입 매출액이 조금씩 다릅니다. 그래서 만약 무역 관련 공부를 하게 될 경우 반드시 알아야 될 것 중 한 개가 수출입 인도(선도) 조건입니다. 이 인도 방식은 제품에 대한 소유권 및 운임 (손실 위험부담 포함) 등의 비용 부담 주체를 정하는 기준으로 알고 진행하면 좋을 듯싶습니다. 인도조건( 인코텀즈 )은 보통 3가지 알파벳을 약자로 총 11가지의 규칙이 있습니다. 상기에 언급했다시피 제품의 소유권 및 운임 등의 비용 부담을 주체를 결정하는 것인데요. 보통 회사에서는 11가지 전부를 이용하여 운임비용을 뽑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관리해야 되는 범위가 다 다르기 때문) 그러므로 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5가지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EXW ( Ex .. 2021. 6. 2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