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상나눔 [무역 실무] 관련 자료-2 [인보이스]

by 맘비화 2021. 4. 5.

지난번에 [무역실무]에서 언급한 인보이스 관련입니다.

인보이스는 두가지 ,Proforma invoice 와 Commercial Invoice가 있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네이버 지식 백과에서는

Proforma invoic: [견적 송장] 매매계약성립 이전에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화물의 수입가격을 계산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또는 수입자가 수입허가를 신청하는 데 필요한 첨부서류로서 견적송장을 수출자가 작성하여 수입자에게 보낸다.

CI는 지식 백과에는 뜨지 않고 영문사전에 뜨네요

Commercial Invoice: [상업 송장]상업송장, 외국무역에 있어서 수출상으로부터 수입상에게로 작성되는 상거래 용의 송장.

두가지 인보이스[송장]은 사용 하되는 곳들이 다릅니다.

Proforma invoice(견적 송장) :

1. 프로포마 인보이스 줄여서 PI로 부르고 있으며 만약 양쪽에서 사인을 할 경우 견적서 역활을 합니다. 견적서로서 수출자와 수입자의 계약 사실 입증이 불가합니다.

2. PI는 견적서의 느낌이기 때문에 즉 수,출입 통관 진행 시 필요로 하는 송장 역활을 하지 못합니다.

3. PI는 외화 송금 진행시 증빙서류로 많이 제출 합니다.

Commercial Invoice[상업송장]

1. 커머셜 인보이스는 줄여서 CI로 부르고 있으며, 수,출입 통관 진행시 필요로 하는 송장입니다.

2. CI는 보통 PL (packing list) 서류와 함께 같이 제출합니다.

3. CI에는 PI와 다르게 상세한 내역이 적혀 있습니다.

 

이상 PI,CI 차이였습니다. 보통 수입을 많이 하는 저희 회사에서는 공장측에서 PI,CI,PL를 한꺼번에 받습니다.

PI같은 경우 위에 언급했듯이, 외화 송금 진행시 증빙서류로 많이 제출 하며, CI는 입항 후 선적서류로 낸답니다.

무역 실무 용어관련해서는 내용들이 엄청 많기 때문에 공부할 것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무역회사에 다니면서, CI와 PI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은행 증빙서류, 통관진행 증빙서류로만 분리 합니다. 만약 인보이스 관련해서 새로운 이야기가 들려오면 업데이트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