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실무] 원산지 증명에 관하여 -2 (사후 원산지증명)
안녕하세요! 오늘 낮에 폭염 경보가 뜨더니 오후에 비가 갑자기 엄청 쏟아지기 시작했어요! 아마 오늘 오전 날씨는 비 내리기 위한 날씨었나봐요. 아무튼 다들 더위 먹지 않게 조심하셔요:)
오늘은 원산지 증명에 관한 제 2탄 ! 사후 FTACO 인증서 관련 이야기 입니다!🤔 원산지 증명은 지난번에 언급했던 내용인 것은 알고 있지요? 하기 내용 참고
https://hfkimnara.tistory.com/32
[일상 나눔] 원산지 증명에 관하여 -1 (HS code)
안녕하세요 ! 오늘 무역실무 관련하여 같이 공부할 내용은 지난주에 공부 하였던 H.S code와 관련된 원산지증명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합시다! https://hfkimnara.tistory.com/31 [일상 나눔] H.S CODE 란 무엇
hfkimnara.tistory.com
그럼 과연 제가 말하는 사후 FTACO (원산지증명) 이 뭘까요 ?

이것이 무엇인고......😂...공부하면 할수록 뭐가 툭하고 튀어나오지만! 그래도 미리 알고 대응 하면 좋은 것 아니겠습니까?

사후 원산지 증명이란?
@네이버 지식백과
원산지 사후검증은 특혜 세율을 적용받은 물품이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사후에 조사해 잘못된 것을 바로잡거나 위반자에 대해 제재조치를 취하는 일련의 행정절차를 말한다.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 혜택을 받으려면 원산지를 증명해야 한다. 간접검증과 직접검증의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통상 유럽연합(EU)은 간접검증, 미국 등은 직접검증을 취한다.
정확히 원산지 사후 검증이라고 불리고 있군요! 저는 관세사와 이야기를 할때 항상 사후 원산지 증명이라고 해서 정식 명칭이 저것인지 몰랐었네요! 그리고 저 지식백과내용 중에는 제가 겪은 일에 대한 내용은 언급이 없네요.
제가 겪은 일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보통 제품 입항하기 전 서류 제출을 위해 CI, PL, FTACO를 받아 관세사에 넘깁니다. 하지만 FTACO일 경우는 CI,PL 받을 때 같이 받을 수도 있지만, 대부분 배가 출항 (ETD) 할 때 판매자측에서 신청이 가능 하다고 하더라고요. (원인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2. 만약 FTACO (원산지 증명)을 ETD이후로도 제품을 실은 배가 입항한 후에도 받지 못 했다고 한다면, 보통 신고가능시점까지 받아서 제공 하면 됩니다. 그런데 신고시점까지 오지 않을 경우 사후 진행 혹은 그냥 일반 통관 진행을 해야되는 것이지요.
3. 사후 진행은 우선 선 신고를 한다음 관세까지 비용을 지불 하고, 이후 원산지 증명서를 제공하여 관세를 되돌려 받는 것입니다. 기간은 신고 기준으로부터 6개월 전에 원산지 증명을 제출하면 됩니다. 모든 나라마다 제출 기간은 정해져 있는 것 같으니 확인 잘 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전 중국 기준입니다)
4. 보통 사후진행을 하면 2주에서 몇개월 전에 입금이 되는 것 같습니다. (단,수수료 몇 만원이 듭니다)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가 취급하는 제품들은 보통 8%~6%의 관세가 붙는데 수량이 많을수록, 단가가 비쌀수록 관세 가격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에... 관세를 떨어뜨릴수 있는 것들은 최대한 FTACO(원산지 증명서)를 받습니다.
여러분들도 관세 부분 관련해서는 최대한 내지 않길 바라며~~ 이상 오늘 공부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